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내돈내고다닌
- 요시타케신스케
- 여행기
- 정세랑
- 리얼후기
- 세체시온(SECESSION)
- 아스트리드
- 마인드풀러닝
- 글자없는그림책
- 편해문
- 그림책추천
- MUJO
- 제주숙박
- 엄마사랑그림책
- AI를이기는철학
- 수업일기
- 아이와함께제주
- 올리버색스
- 벨베데레
- 임성미
- 마녀체력
- 곤도마리에
- 책동이
- 제주숙소
- 초등글쓰기
- 여행을 떠나요
- 정리의마법
- 박시백
- 마음챙김
- 초등인문독서의기적
- Today
- Total
기루 여행기

하루는 열이 뻗쳐서 말했다. "넌 공주 아니라고. 엄마가 여왕이거나 아빠가 왕이어야 네가 공주라고. 세상에 공주는 별로 없어!" 그 순간 눈을 껌뻑이던 딸아이의 표정이 아직도 생생하다. 흑. 동심파괴 에미. 작은도서관에서 초등독서를 주제로 임성미 작가를 모셔서 강연을 하다가 잘 듣고 나서... 마지막에 물었던 질문도 이것이었다. "공주 이야기만 읽는 여아도 괜찮은가요?" 이것이 바로 작년 일. (딸 만5세) 옛이야기의 원형은 왜 똑같은지, 소위 문제적 작품들을 아이들은 왜 아무렇지 않게 읽는지, 그것들이 가진 의미는 무엇인지 알았더라면, 그렇게 무참하게 아이 마음을 아프게 하지는 않았을 텐데. 지금 생각해도 정말 미안하다. 모았던 그림책이나 계속 읽어줄걸. 딸아이에겐 볼 때마다 재미없거나 충격적인 반응이..

by 신기루 2017/08/25 05:49 엄마는 늙어가고 너는 커간단다. 나는 눈물이 나는데 너는 이해를 못하네? 재미 없어 하는 표정. 7세.

by 신기루 2017/08/23 16:23 미니어처리스트 - 제시 버튼/ 이진 옮김 / 비채 1. 요즘 스릴러물은 여성 주인공이 대세인가. 도 그렇고, 이 책도 그렇고. 2. 몰입도는 과 정 반대다. 죽여 마땅한 사람들은 초반 흡입력이 압권이라면... 이 책은 뒷심이 기가 막히다. 이런 책이 더 씐나. 3. 이 책에 나온 성경구절은 어디서 찾아온 건지. 진짜 맞나 찾아봄. 있다. 4. 를 짬짬이 보고 있는데, 이 소설은 1600년대 네덜란드를 그대로 고증해 놓은 듯. 5. 당시 성직자들, 동성애에 대한 태도, 무역상, 이민자(?) 노예의 삶, 예술가들까지 다룰 주제들이 가득. 6. "희망은 위험한 거야, 페트로넬라." "아무것도 없는 것보단 나아요." 흔한 대사지만 너무나 절박한 상황에 빠진 주인공에게 ..

by 신기루 2017/07/17 16:50 - 피터 스완슨 / 노진선 옮김 / 푸른 숲 1. 일단 제목 센스 굿. 그래서 골라 잡은 것이기도 하다. 2. 무척 으스스하다. 죽여 마땅한 사람들이라니. 내용이 진짜 그렇다. 3. 초반부의 흥미는 정말 대박인데 2부 부터는 좀 느슨해진다. 4. 비행기에서 만나 살인을 도와주겠다는 계획은이라는 소설을, 사이코패스 릴리는 의 에이미처럼 흔히 볼 수 없는 주인공이라는데... 두 소설의 클리셰를 어떻게 꼬았는지 확인해보고 싶어졌다. 혹시 역자의 같은 작품인가?? 5. 역자의 마지막 부분 후기가 재미있었다. 단순히 공사가 시작되면 다 밝혀지겠네 라는 추리를 넘어... 무슨 일이 있어도 널 사랑한다는 아빠의 대사, 환경운동가가 된 엄마를 해석해 놓은 부분. 이것이 다 읽..

by 신기루 2017/07/14 13:19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 김명남 옮김 / 창비 1. 다소 쎄(?) 보이는 제목이라 강한 내용이 아닐까 했는데 웬걸. 이런 제목 안에 이토록 부드럽고 다정하게 젠더문제를 언급하다니. 2. 이토록 얇은 책 안에 전지구적 문제를 담고 있다니. 지은이가 공부한 아메리카나 살고 자란 아프리카나 이걸 읽고 있는 아시아나. 3. 나이지리아의, 결혼한, 페미니스트의 글이자 글쓰기를 직업으로 하는 페미니스트라니! 놀람의 연속. 추천할만하다! "우리가 어떤일을 거듭 반복하면, 결국 그 일이 정상이 됩니다. 우리가 어떤 일을 거듭 목격하면, 결국 그 일이 정상이 됩니다. 만일 남자아이만 계속해서 반장이 되면, 결국 우리는 무의식적으로라도 반장은 남자여야 한다고 생각하게 됩..